9급 공무원 월급
9급 공무원 실수령액
공무원 수당
9급 공무원 성과. 보수제도 안내
- 보수체계
- 봉급제도
- 수당제도
- 여비제도
- 공무원 봉급표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공무원의 보수체계
보수와 봉급은 그 의미가 다른 편입니다. 흔히 보수와 봉급을 같은 의미로 알고 있지만 봉급은 직책의 곤란성과 책임의 정도에 따라 직책별로 지급되는 기본급여 또는 직무의 곤란성과 책임의 정도 및 재직지간 등에 딸라 계급별 . 호봉별로 지급되는 급여를 말합니다.
수당은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급여를 말하고 이를 모두 포함 한것이 보수입니다.
보수 = 수당 등 (18종) + 봉급(기본급)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봉급제도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공무원의 봉급체계는 호봉제 와 연봉제로 구분.
- 연봉제는 공정급적연봉제 . 성과급적연봉제 . 직무성과급적연봉제
- 호봉제는 호봉에 따른 봉급(기본급)이 지급되는 제도
※ 공무원은 매년 정기승급을 통해 호봉이 올라가는 구조로 연공급적 성격의 보수체계를 가지고 있음.
- 호봉체계에 따른 봉급표는 직종별로 다르게 설정이 되어 있으며, 봉급외에 각종 수당이 지급됩니다.
- 공직사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근무성적 . 기타 업무실적 등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성과급인 성과상여금을 지급합니다.
- 공무원의 연공급 보수체계에서 능력(실적)위주의 보수체계로 전환함으로 공직사회의 경쟁력.생산성.창의적인 장점을 채우고 복잡한 보수체계의 단순화로 보수제도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1999년 부터 연봉제 도입
- 직위별로 연봉이 고정되는 고정급적 연봉제는 차관급이상 정무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합니다.
※ 정무직공무원은 일반직공무원과 달리 성과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개별직위마다 고정된 연봉을 책정
※ ※ 고정급적용연봉대상자는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연봉외에 가족수당. 자녀학비수당.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지급
- 성과급적 연봉제는 일반직. 별정직 등 1~5급(상당) 공무원과 임기제공무원이 대상. 연봉외에 급여로는 가족수당. 시간외근무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연가수당비.직급보조비.정액급식비.특수근무수당.특수지근무수당 등이 지급
- 직무성과급적연봉제는 고위공무원에 적용. 기본은 성과급적연봉제와 같습니다.
따라서 9급 공무원은 호봉제의 적용을 받으며 계급별로 23개에서 32개의 호봉 대상이 됩니다.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수당제도
공무원의 수당은 직종별 . 직급별. 부양가족등 다양한 봉급외 수당제도를 운영하여 좀더 세분화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9급 공무원이 받을 수있는 수당과 6급이상 공무원이 받을 수 있는 수당등 직급에 따라서도 구분해서 지급합니다.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여비제도
- 운임비
- 숙박비
- 식비
- 일비
- 이전비
- 가족여비
- 준비금
◈ 9급 공무원을 포함한 공무원 봉급표
▶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월급표 2020년
9급공무원의 1호봉 월급은 1,642,800원 정도로 상당히 적어 보입니다.
말 그대로 신입사원이 입사하여 첫 월급을 이정도 받는 다면 회의감도 들 수 있는 보수임에는 맞지만
▶ 공안업무 등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월급표 2020년
동네 개원의사의 월급이 평균 1500만원으로 일반 근로소득자보다는 상당히 높지만 의대 등록금과 개원비등을 고려하면 개원의사의 수입은 오히려 7급 공무원보다도 못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만큼 공무원이 가진 메리트가 많다는 방증일 수도 있겠지요.
▶ 이외에도 전문경력관. 연구직공무원 및 국가정보원 전문관 . 지도직 공무원. 일반직 우정직 공무원. 경찰.소방공무원 및 의무경찰등. 유치워.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등. 국립대학 교원 등 . 군인 의 직급별 월급표도 따로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위의 9급 공무원을 포함한 직종별 공무원 의 월급표는 기본급을 말하는 부분이고 정부가 고용해서 쓰는 인력인 공무원은 다양한 수당제도 와 복지혜택. 연금등의 지원이 있기에 표시되어져 있는 단순 기본급이외에도 많은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길게 보는 직업군으로 공무원은 그래서 가장 안정적이면서 노후가 편안 한 직업군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는 이유가 평생직업이기도 하지만 각종 복지혜택과 연금 그리고 직장의 안정적인 지속성에 있다는 생각이 다시금 드네요.
댓글